목록3-2학기/현대물리 (14)
알쏭달쏭 공부한거 쓰기

입자가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. 아이슈타인이 상을 타게된 과정도선을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실험. 빛을 떄리니 전류가흐름 >전류=전자의 흐름> 전자는 어디서 나왔는가 실험1)강도 > 전자 나오지 않음2)주파수>파장 작게해서 떄려야 전류 많이 흐름 에너지=hf 전자는 원자에 binding되어 있음> potentional E 만큼의 E를 때려야 전자가 나옴.=conduction band로 excited됨. 전류가 흐름=전자 potiential (떼어내는 힘)+ 운동 E(움직이는 힘) =에너지 보존 법칙 적용 아인슈타인 KE를 구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순간을 막는 힘인 work fucntion을 줌. 1가지 추가 실험. x-ray 가시광선보다 길면 적외선 파장이 짧으면 ultra~ UV(반도체), 더 작은 영..

고전 물리와 현대물리의 차이점. 물체는 그냥 직선운동을 하는데 시공간의 왜곡에 의해서 방향이 바뀌는것 맥스웰 방정식, 유도, 원인과 결과의 관계성 설명. 바퀴가 앞으로 보내려면 어느 방향으로 돌아야하는가 왜 b필드는 발산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하는가. 작은 애들이 전자라고 하면, 그걸 지나가는 애들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하는지. 이런 컨셉에서 발산산하는 방향이 나타남. 프리즘 통과 시 흰색이 퍼짐. 색 별로 굴절률, mass가 다름> 입자로 설명됨. 간섭실험으로 입자로 설명되지 않음 맥스웰 방정식에 파생된 wave eq에 넣으니 빛의 전자기파의 방정식과 잘 맞아떨어짐. balckbody radiation.으로 입자가 설명됨. 박스내에서 나오는 빛을 분석. >wave length 다양한 형태의 파장을 가진..

-Modern Physics_Lecture 3_Particle Properteis of Waves review중력: 당기는 힘이 아님.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정리해보자면“Spacetime tells matter how to move; matter tells spacetime how to curve” -John Archibald Wheeler -ex)사과가 떨어지는 것은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물체가 변하는 것임. 사과의 시공간이 아래쪽으로 curved되어 있음> 가지에 매달린 힘이 부족하면 아래로 가는거임. 시공간 변화>물체의 변화> 시공간 변화를 물체의 이동으로 인지할 수 있음.>중력을 시각화 상대성이론 2가지 -특수 상대성 -일반 상대성등속운동일때 특수가속하는 경우 일반 >extensio..

지난시간 리뷰상대성 이론-특정 ref가 필요=inertial frame >이것은 등속운동을 하는경우 적용 그때 문제점. -갈리레이갈리레오: 상대성 이론 먼저 제시 그러나, time이 고정임-맥스웰: 빛은 전자기파임. c=3*10^8 어디에 있 constant (문제점 발생)-아인슈타인이 제안: 위를 유지하고 다른 변수가 바뀌어야함. --지구랑 우주의 1초는 다르다--길이 역시도 다른다. -감마:로렌츠가 만듦: Lorentz factor.감마만큼 변화하여 time/감마 , length*감마 형태로 관측된다. 실제 문제 적용1.우주선 안에서는 빛이 틱톡하는 t초 걸림. 2.그러나 관찰자가 움직이는 물체 대비 멈춰 있거나 밖에 있을 때 로켓 관찰시 1과 달라짐. 로켓안에서 공이 틱톡해도 로켓이 v속도로 이동..